
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차 탄소중립산업전환 추진위원회를 열고 산업·에너지 분야의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(NDC) 달성 및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‘탄소중립 산업·에너지 R&D 전략’을 발표했다.
현재 화석 발전 위주의 에너지 생산 분야에서는 2050년까지 100% 청정연료(수소·암모니아)로 전환할 계획이다. 또 태양광 입지 다변화 기술, 50년 이상 수명의 풍력터빈 상용화, 해상풍력 전력망 통합기술 등 차세대 기술을 개발해 태양광과 풍력 발전을 대규모로 확대하기로 했다. 철강, 석유화학 등 주요 산업 분야를 탈탄소 공정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 확보도 추진한다.
이 같은 탄소중립 기술 확보를 위해 2030년까지 산업부는 연구개발(R&D) 예산의 30% 이상을 탄소중립 분야에 투입할 계획이다. 또 탄소중립 R&D 예산을 올해 8200억원에서 내년 1조2000억원으로 증액할 방침이다.
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“2030년까지 미국은 1870조원, 유럽연합(EU)은 1320조원, 일본은 178조원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”며 “우리 정부의 탄소중립 예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”고 말했다.
이지훈 기자 [email protected]
최태원 "산업계 탄소 감축 부담 커…규제보단 인센티브 필요"
"철강업계 규제 도입 늦춰야"...한은도 '탄소중립 과속' 경고
윤종규 KB금융 (KS:105560) 회장 "기업 자발적 ESG경영 유도가 금융의...